본문 바로가기

활동&성과

(95)
2022년 2회차 오픈러닝랩 열린특강을 개최합니다. 안녕하세요. 학습과 성장의 파트너, 오픈러닝랩의 박형주 소장입니다. 이번 행사는 2022년 2회차 열린특강입니다. 이번 열린특강의 정보와 예약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제 : 이러닝/에듀테크 콘텐츠 - 열린특강 일시 : 2022. 4. 22.(금) 20:00 ~ 21:00 (강의 1시간, 이후 Q&A 자유) - 예약 마감 : 2022. 4. 22.(금) 18:00까지 - 방법 : 비대면 화상 도구 활용(구글 미트 활용 예정) - 신청 방법 : 이벤터스 예약 기능 활용 열린특강 당일 강의 시작 전 18:00까지 예약 가능합니다. 예약 완료되면 신청하신 분들께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주소를 이메일과 휴대폰번호로 안내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신청 주소 : https://event-u..
기상기후인재개발원 <메가트렌드 이해과정>의 메타버스 이해와 체험 강의 완료 기상기후인재개발원에서 진행한 에 참여했습니다. 2일 동안 진행되는 과정에서 저는 맨 마지막인 '메타버스의 이해와 체험' 세션을 담당했습니다. 온라인으로 진행했고, 줌을 기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두고 로블록스와 젭(ZEP)을 체험했습니다. 기상기후인재개발원에서 진행한 메가트렌드 이해과정은 다음과 같은 주제로 구성되었네요. * 미래기술 트렌드 : CES 2022 주요 기술 및 기술의 흐름 소개 * 라이프 트렌드 : 고령화, 기후위기 및 기술발전 등에 따른 생활 양상 및 직업 양상 변화 등 소개 * 가상공간과 퓨처워크 : 가상오피스 원격 근무 사례 소개, 미래 업무 트렌드 * 웹3.0 시대 : 메타버스, NFT 등 웹3.0 시대에 대비한 디지털 트렌드의 가능성 및 극복 과제 * 메타버스의 이해와 체험 : 메타..
체험형 메타버스 교육 참여 사전 준비 - 로블록스 회원가입 및 기타 정보 입력 방법 로블록스를 활용한 체험형 메타버스 강의를 위한 사전 준비 사항 안내해 드립니다. 로블록스는 회원가입해야 체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방법에 따라서 회원가입을 사전에 진행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로블록스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www.roblox.com/ - 회원가입은 생년월일, 사용자이름, 비밀번호, 성별만 입력하면 바로 가능합니다. 생년월일 : 13세 이상으로만 입력하면 됩니다. 실제 생년월일을 입력하셔도 되고, 임의로 넣어도 됩니다. 사용자이름 : 아이디 역할을 합니다. 잊지 않도록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이름을 넣어주세요. 영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하시면 됩니다. 실명을 사용하지 말라고 로블록스에서 안내하고 있으니 가명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비밀번호 : 8자 이상의 암호를 사용하세..
2022년 1회차 열린특강 마무리 - 이러닝/에듀테크 이해 2022년 1회차 열린특강을 마무리했습니다. 총 80명 신청 중 13명이 참석했습니다. 저는 10명 이하로 오실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다행(?)스럽게도 예상보다는 많이 오셨네요. 이러닝/에듀테크 업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야기를 설명드렸습니다. 어떻게 들으셨는지 참 궁금하긴 합니다만, 별도의 후기를 남기도록 안내하지는 않았습니다. 열린특강을 통해 이러닝/에듀테크 업계에 관심을 갖고 계시는 분들과 학습공동체를 운영해 보려고 디스코드 커뮤니티에 초대를 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서도 이러닝/에듀테크 학습공동체를 함께 키워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세요. https://discord.gg/fXwaEw3zCn Join the 📙 오픈러닝랩 열린특강 Discord Server! Check ou..
애스크에듀테크(AskEdTech), 이러닝/에듀테크 정보 큐레이션 플랫폼 러닝스파크에서 이러닝/에듀테크 정보 큐레이션 플랫폼인 애스크에듀테크(AskEdTech)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이 기사에 나와서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현재 이러닝/에듀테크 업계의 현황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된 곳은 없습니다. 매년 발간되는 이러닝산업실태조사 보고서 정도가 전부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보니 이러닝/에듀테크 업계가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는지 어떤 제품이 있는지 등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정보가 체계적으로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만 하고 있지 그것을 위해 누군가가 움직이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러닝스파크가 그 어려운 발걸음을 내딛었네요. 애스크에듀테크는 크게 제품, 기업, 지식베이스, 사업공고 등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커넥트(Connect)라고 하는 이름으로 기업이 직접 기사..
탈중앙화 메타버스, 디센트럴랜드 접속과 조작 디센트럴랜드라고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있습니다. 탈중앙화된 메타버스의 대표적인 예시로 언급됩니다. 메타버서를 분류의 기준 중 '탈중앙화' 여부에 따른 분류도 있습니다.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경우는 중앙화 메타버스이고, 더샌드박스, 디센트럴랜드 등이 탈중앙화 메타버스입니다. 중앙화되었는가, 탈중앙화되었는가의 기준은 운영의 주체가 '중앙'에 있느냐 없느냐가 아닙니다. 디지털 자산을 중앙에서 모두 소유하는가, 사용자에게 돌려주는가에 따라 탈중앙화 여부가 달라집니다. 탈중앙화는 블록체인 기술을 근간으로 움직입니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로 보면 됩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디지털 자산을 중앙에서 독점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소유권을 갖도록 하는 것이 탈중앙화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메타..
서울시립과학관 SML 행사 메타버스 월드 부문 멘토링 완료 서울시립과학관에서 'SML 과학 진로 멘토링 라운지(과학진로페스티벌)' 행사에서 메타버스 월드 분야 진로 멘토링을 했습니다. 2021년 12월 18일 토요일 15:50 ~ 17:00 까지 총 2회차 진행했습니다. 회차별로 15분 진로 관련 특강, 15분 질문답변으로 구성되었네요. 상세 프로그램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상세 프로그램 확인 링크 : https://openlearninglab.kr/56 SML 과학 진로 멘토링 라운지(과학진로페스티벌) 메타버스 월드 멘토링 참여 서울시립과학관에서 'SML 과학 진로 멘토링 라운지(과학진로페스티벌)' 행사를 대행하는 업체로부터 연락이 와서 메타버스 월드와 관련된 소주제로 멘토링을 하게 되었습니다. 2021년 12월 18일 토 openlearninglab.kr..
경기도 K대학교 교수 대상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이해 특강 1회차 진행 경기도 소재 K대학교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이해' 대면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대면 특강은 같은 주제로 총 2회차로 진행됩니다. 이 대학은 2022학년도에 전체 교육과정을 마이크로러닝으로 서비스한다고 합니다. 준비를 위해 이번 특강을 마련한 것입니다. 제작 실습은 이후에 컨설팅과 함께 병행하게 됩니다.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이해와 관련된 대략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마이크로 콘텐츠의 이해 - 마이크로 콘텐츠의 특징 - 마이크로 콘텐츠 제작 팁 - 마이크로러닝 개념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장점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단점 - 일반 이러닝 교수설계 모형 - 일반 이러닝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 -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 - 향후 컨설팅 일정 공유 등 마이크로러닝 콘텐츠의 이..
SML 과학 진로 멘토링 라운지(과학진로페스티벌) 메타버스 월드 멘토링 참여 서울시립과학관에서 'SML 과학 진로 멘토링 라운지(과학진로페스티벌)' 행사를 대행하는 업체로부터 연락이 와서 메타버스 월드와 관련된 소주제로 멘토링을 하게 되었습니다. 2021년 12월 18일 토요일에 김상균 교수님의 기조강연 이후 학생들 멘토링을 합니다. 메타버스 하위의 소주제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저는 메타버스 월드 주제를 선택했습니다. 아래 행사 포스터에 세부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행사 세부설명 사이트 : https://science.seoul.go.kr/program/science/read?menuId=14&progMstId=443 서울시립과학관 교육 및 행사>과학교육프로그램 과학교육프로그램 교육 및 행사>과학교육프로그램 science.seoul.go.kr 프로그램 구성을 보면 기조 강연 40..
경북 H초등학교 메타버스 특강 - 주제 : 메타버스의 이해와 교육적 활용 비대면 화상 도구(구글 미트)를 활용하여 경북 H초등학교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1시간 30분 가량 진행했고, 화상 특강을 진행해 본 중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을 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은 강의 끝날 때 찍은 것(개인 노출이 될만한 사항은 모두 모자이크 처리)을 보면 60명입니다. 중간에 퇴장하신 분들을 감안하면 70명 약간 안되는 분들이 참석하셨네요. 현직 초등학교 선생님들이다 보니 비즈니스 관점에서 설명드리는 것이 어색할 수 있어 '교육적 활용' 부분에 초점을 더 두어 설명했습니다. 강의 자료를 모두 교육적 활용에 맞추기는 어렵지만 설명할 때 초등학교의 상황에 맞게 예시를 들고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특히 이번 특강 때에는 '메타버스 교육적 활용 전략' 10..